임신을 준비하면서 가장 고민되는 것중 하나가 바로 가임력 검사입니다.
저는 대전 미즈 난임병원에서 가임력 검사를 받고, 보건소 지원과 보험적용에 대해 직접 알아보게 되었어요.
제가 직접 가임력 검사비를 청구한 경험을 바탕으로,
▷가임력 검사항목
▷보건소 청구방법
▷보험적용 여부 및 실손 청구 팁
까지 진짜 유용한 정보만 정리해드릴게요.
★가임력 검사, 어떤 항목들이 있을까?
가임력검사 종류 · 보험적용여부 · 보건소 지원 여부
임신이 가능한지 자궁, 난소 그리고 호르몬검사 그리고 나팔관조영술이 있어요.
항목 | 보건소 지원 | 보건소 지원 (사전 신청자에 한에) |
보험적용여부 | 비보험시 비용 |
AMH검사 (난소나이) | 난소 기능확인 | 0 | X | 5~7만원 |
부인과 초음파 | 자궁, 난소 상태 | 0 | 조건부 적용 | 5~6만원 |
호르몬 검사 | FSH, LH등 | X | 1년 이상 준비시 | 3~5만원 |
자궁 난관 조영술 (HSG) | 나팔관 이상 여부 | X | 난임 진단시 | 10~15만원 |
에스트라디올 | 여성 호르몬 수치평가 | X | 조건부 적용 | 2~4만원 |
TSH검사/T3/T4 | 갑상선 자극 호르몬 측정 | X | 적용 | 2~3만원 |
프로락틴 검사 | 프로락틴 수치 측정 | X | 적용 | 2~3만원 |
자궁경 검사 | 자궁내막 및 자궁강 상태 확인 | X | 난임 진단시 | 10~20만원 |
병원바다 비용은 다를 수 있습니다.
★ 보건소에서 어떤 검사 지원 받을 수 있을까?
보건소에서는 임신 전 건강관리를 위한 검사비를 여성 13만원, 남성 5만원까지 지원해줘요.
하지만 보건소 참여 의료기관만 지원이 가능하니 반드시 참여 기간을 확인해보세요.
★ 실제 경험: 내가 받은 가임력 항목
저는 임신 준비 9개월차로
AMH 검사(난소 기능 확인)
보인과 초음파(자궁 상태, 자궁내막두께, 난소 상태-용종여부 등)
두 항목으로 보건소 지원으로 검사를 받았어요.
총 진료비는 148,810원 (진료,검사비 포함)
하지만 병원에서 FSH,LH 호르몬 검사도 추가로 권유받았어요.
(보험적용은 임신준비 1년 이상이여야 가능하다고 합니다.)
★ 보건소 청구 방법
보건소 청구 기한은 병원에서 검사후 한달 이내 청구해야 지원비를 받을 수 있어요. (여성13만원/남성 5만원)
1. e보건소 접속해서 민원서비스탭에서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을 클릭해주세요.
2. 간편 인증을 해주세요.
3. 의료비 지원 신청현황에서 청구를 클릭해주세요.
4. 제출처는 검사받은 병원을 적어주세요. 그리고 발급 신청을 눌러줍니다.
5. 신청인 정보와 청구인 정보를 작성합니다.
6. 구비서류 구분을 확인해주세요.
진료비영수증은 기타서류-영수증
진료비 세부내역서는 진단서 및 확인서-진료비세부내역서
통장사본은 기타서류-통장사본
★ 병원에서 어떤 검사 권유했는지 후기
저는 AMH와 초음파 외에 호르몬 검사인 FSH와 LH검사를 권유받았어요.
(AMH와 FSH와 LH는 피검사로 한번에 알수 있지만 가격이 추가 됩니다.)
보험적용 여부를 물어봤는데, 임신준비를 7개월이라고 적어서 아직 보험적용이 안된다고 하네요.
1년 넘으면 진단코드로 보험적용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니, 임신준비 1년 이상 되신 분들은 확인해보세요.
보험 적용 팁
보험적용 기준: 임신시도 1년 이상+ 진단코드
실손 보험 청구: 일부 항목은 실손보험으로 환급 가능!
진단서 필수 여부: 병원에 사전 문의
저는 지금 보건소에 가임력검사비용을 청구한 상태에요.
저는 난소검사 amh검사랑 자궁 난소상태에 용종이 여러개 있더라구요.
용종 떼어내고, 시험관으로 넘어갈수도 있을것 같아요.
★ 결론
하반기에는 가임력 검사 지원비가 떨어져서 검사지원을 못받을 수 있어요.
따라서 임신 준비하고자 하는 분들은 빨리 보건소에서 가임력 검사 신청을 해보세요.
임신준비 1년 이상 되는 분들은 보험적용되는 항목도 많으니, 피검사 할때 여러 항목을 더 체크해보는게 좋을것 같아요.
'꿀팁 > 임신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팔관 조영술 통증 실비 비용 찐 후기 (1) | 2025.05.14 |
---|---|
조기 폐경 증상, 검사부터 치료까지 꼭 알아야 할 정보 총정리 (0) | 2025.04.30 |
블랙마카 아르기닌 임신준비 영양제 여자 남자 복용법과 주의사항 (0) | 2025.04.27 |
이노시톨 vs 코큐텐CoQ10, 임신 준비에 꼭 필요한 영양제 비교 (0) | 2025.04.25 |
임신 초기 증상 시기별 정리 및 대처법 – 배란일 이후 착상부터 임신 확인까지 (0) | 2025.04.25 |